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961
2961번: 도영이가 만든 맛있는 음식
첫째 줄에 재료의 개수 N(1 ≤ N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 줄에는 그 재료의 신맛과 쓴맛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모든 재료를 사용해서 요리를 만들었을 때, 그 요리의 신맛과 쓴맛은
www.acmicpc.net
문제
도영이는 짜파구리 요리사로 명성을 날렸었다. 이번에는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요리에 도전을 해보려고 한다.
지금 도영이의 앞에는 재료가 N개 있다. 도영이는 각 재료의 신맛 S와 쓴맛 B를 알고 있다. 여러 재료를 이용해서 요리할 때, 그 음식의 신맛은 사용한 재료의 신맛의 곱이고, 쓴맛은 합이다.
시거나 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. 도영이는 재료를 적절히 섞어서 요리의 신맛과 쓴맛의 차이를 작게 만들려고 한다. 또, 물을 요리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, 재료는 적어도 하나 사용해야 한다.
재료의 신맛과 쓴맛이 주어졌을 때, 신맛과 쓴맛의 차이가 가장 작은 요리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재료의 개수 N(1 ≤ N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 줄에는 그 재료의 신맛과 쓴맛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모든 재료를 사용해서 요리를 만들었을 때, 그 요리의 신맛과 쓴맛은 모두 1,000,000,000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신맛과 쓴맛의 차이가 가장 작은 요리의 차이를 출력한다.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difference =Integer.MAX_VALUE;
static int TC;
public static void powerSet(int[][] taste, int cnt, boolean[] isSelected) {
if (cnt == TC) {
int set_cnt=0;
for(int i = 0; i < TC; i++) {
if(isSelected[i] ==true) set_cnt++;
}
if(set_cnt != 0) {
int differ=0;
int sour = 1;
int bitter = 0;
for (int i = 0; i < TC; i++) { // isSelected를 탐색해서
if (isSelected[i]) { // 선택된 원소일 경우
sour *= taste[i][0];
bitter += taste[i][1];
}
}
differ= sour>bitter?sour-bitter:bitter-sour;
if(difference > differ) difference = differ;
}
return;
}
isSelected[cnt] = true;
powerSet(taste, cnt + 1, isSelected);
isSelected[cnt] = false;
powerSet(taste, cnt + 1, isSelected)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umberFormatException,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;
TC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int[][] taste = new int[TC][2];
for (int t = 0; t < TC; t++) {
String str = br.readLine();
st = new StringTokenizer(str, " ");
taste[t][0] =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taste[t][1] =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}
powerSet(taste, 0, new boolean[TC]);
System.out.println(difference);
}
}
부분집합의 원소가 무조건 한개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부분집합이 정해지면 isSelected 배열을 이용해 원소의 갯수를 세어주고, 원소의 갯수가 0이 아닐 때에만 신맛과 쓴맛을 계산해 차이의 최솟값을 갱신해 주도록 했습니다.
if (cnt == TC) {
int set_cnt=0;
for(int i = 0; i < TC; i++) {
if(isSelected[i] ==true) set_cnt++;
}
if(set_cnt != 0) {
int differ=0;
int sour = 1;
int bitter = 0;
for (int i = 0; i < TC; i++) { // isSelected를 탐색해서
if (isSelected[i]) { // 선택된 원소일 경우
sour *= taste[i][0];
bitter += taste[i][1];
}
}
differ= sour>bitter?sour-bitter:bitter-sour;
if(difference > differ) difference = differ;
}
'문제해결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564번-경비원(JAVA) (0) | 2021.08.13 |
---|---|
백준 3040번-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(JAVA) (0) | 2021.08.12 |
백준 17406번-배열 돌리기 4(JAVA) (0) | 2021.08.11 |
백준 16935번-배열 돌리기 3(JAVA) (0) | 2021.08.11 |
백준 16926번-배열 돌리기 1(JAVA) (1) | 2021.08.11 |